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대표 지수 추종 해외ETF, 국내ETF

by glowdaily 2025. 4. 21.

미국대표지수etf,국내etf

최근 20대부터 시작하여 미국 주식 직접투자뿐 아니라, ETF를 통한 미국 지수 간접투자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S&P500, 나스닥100, 다우존스30 등 미국의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분산 효과와 장기 수익률 면에서 매우 우수합니다. 더불어, 국내에서 ISA나 연금계좌 등 절세 혜택이 있는 계좌를 활용해 미국 지수 ETF에 투자하면 세금 부담 없이 안정적인 자산 형성도 가능합니다.

 

미국 대표 지수 추종 해외ETF

지수 특징 대표 ETF
S&P500 미국 시총 상위 500개 기업 SPY, IVV, VOO
나스닥100 기술주 중심 대형주 100개 QQQ
다우존스30 산업 대표 우량주 30개 DIA
  • SPY: 세계 최초 ETF, 유동성 높음(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담는 주식)
  • IVV/VOO: 운용보수 낮고 장기 투자에 유리 (장독대에 묻어두는 주식)
  • QQQ: 기술주 성장성에 투자(빠른 성장을 원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주식)

미국 대표 지수 추종 국내 상장 미국 지수 ETF – (절세계좌)

국내 ETF 추종 지수 운용사 환헤지
TIGER 미국S&P500 S&P500 미래에셋 없음
KODEX 미국S&P500TR S&P500 삼성자산운용 없음
KINDEX 미국S&P500 S&P500 한국투자 있음
TIGER 미국나스닥100 나스닥100 미래에셋 없음
KBSTAR 미국나스닥100 나스닥100 KB자산운용 있음

국내 상장 ETF는 원화로 거래 가능하며, ISA/연금계좌에 담아 절세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각 운영사의 이름을 알고 있으면 어는 증권사에게 만든  ETF인지 알 수 있습니다.

 

절세계좌로 미국 지수 ETF 투자하는 방법*

  • ISA: 비과세 한도 내 수익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
  • 연금계좌(IRP/연금저축): 세액공제 + 과세이연 혜택

예시: TIGER 미국S&P500, KODEX 미국나스닥100 등 국내 ETF를 활용해 연금계좌에서 미국 지수에 투자 가능

주의: 연금계좌에서는 해외 상장 ETF 직접 매수 불가

지수 투자가 안정적인 이유와 배당 성장주 활용

많은 투자자들이 미국 지수 ETF에 주목하는 이유는 단순히 수익률뿐만 아니라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 때문입니다. 지수 투자는 특정 기업이 아닌 시장 전체 혹은 특정 산업군에 분산 투자하기 때문에, 개별 기업의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P500 ETF는 미국 대형 우량주 500개에 자동으로 투자되는 구조이므로, 일부 기업이 부진하더라도 나머지가 전체 수익률을 방어해줍니다. 특히 장기적으로 미국 증시는 성장해왔고, 과거 30년간 S&P500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10%에 달합니다. 단기 변동은 존재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복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이와 더불어 현금 흐름 중심의 투자자라면 ‘배당 성장주’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배당 성장주는 배당금을 해마다 늘려가는 안정적인 기업으로, 대표적인 종목은 존슨앤존슨(JNJ), 코카콜라(KO), 맥도날드(MCD)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경기 불황에도 배당을 유지 또는 인상하며, 인플레이션 방어 및 은퇴 자금 확보 전략으로 적합합니다.

 

미국 배당 성장주에 투자하려면 ETF인 VIG (Vanguard Dividend Appreciation ETF), SCHD 등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TIGER 미국다우존스30 등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지수 투자와 배당 성장을 결합하면 자산 증가와 현금 흐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전략이 가능합니다.

 

미국 지수 ETF + 절세계좌 조합이 최고의 전략

미국 지수 ETF는 장기 분산 투자에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며, 국내 절세계좌를 활용하면 세금을 줄이면서 자산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복잡한 환전과 세금 신고가 부담된다면, 국내 상장 ETF를 절세계좌에 담는 전략을 적극 추천합니다.